[10분 테코톡] 부기, 우가의 Gradle
Gradle
Gradle은 빌드 자동화 도구로, Groovy나 Kotlin을 사용하여 작성된 빌드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빌드하는 도구입니다.
Build
Gradle은 프로젝트를 빌드하기 위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작업은 코드 컴파일부터 테스트 실행, 패키징, 릴리즈 생성까지 다양한 단계를 포함합니다.
Incremental Build
Gradle은 이전 빌드 결과를 캐싱하여, 변경된 부분만 다시 빌드하는 "증분 빌드"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전체 빌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Build Cache
빌드 캐시는 이전에 빌드한 결과물을 캐싱하여 다음 빌드 시 재사용함으로써 빌드 시간을 단축하는 기능입니다.
build.gradle
Gradle 프로젝트의 빌드 스크립트는 build.gradle
파일에 작성됩니다. 이 파일에는 프로젝트의 구성, 의존성, 빌드 과정 등이 정의됩니다.
Dependency
Gradle에서는 외부 라이브러리나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 의존성을 정의합니다. 의존성은 필요한 외부 자원을 다운로드하여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역할을 합니다.
Transitive Dependency
의존성에는 직접적인 의존성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의존성도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는 자동으로 필요한 모든 라이브러리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Dependencies Block
의존성을 선언하는 부분을 dependencies
블록이라고 합니다. 이 블록 안에 외부 라이브러리의 정보를 기술하여 해당 라이브러리를 프로젝트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Dependency Configuration
의존성을 어떤 방식으로 가져올지 설정하는 부분을 dependency configurations
라고 합니다. 이를 통해 의존성이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지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