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2US ON Tech Blog

암호화폐 지갑의 기술적 원리와 보안 구조 분석

thumbnail

암호화폐 지갑 기술 및 보안 구조 분석

1. 암호화폐 지갑의 기술적 원리

  • 암호화폐 지갑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자산에 접근할 수 있는 개인 키(private key)와 공개 키(public key)를 생성하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개인 키 파생을 통해 니모닉 문구로 여러 개의 지갑 주소를 만들 수 있다.

2. 개인 키 파생 과정

  1. 마스터 시드 생성
    • 니모닉 문구를 바이트로 변환하여 PBKDF2를 사용해 512비트 마스터 시드를 생성한다.
  2. 마스터 개인 키 생성
    • 마스터 시드를 사용하여 마스터 개인 키와 체인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자식 개인 키와 공개 키를 생성한다.
    • 파생 경로: m / purpose' / coin_type' / account' / change / address_index

3. 공개 키 생성

  • ECDSA(타원 곡선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를 적용하여 공개 키를 생성하고, 이 중 20바이트를 주소로 사용한다.

4. 하드웨어 지갑의 보안 구조

  • 하드웨어 지갑은 오프라인 상태에서 개인 키를 저장하여 보안성이 뛰어나다.
  • 보안 칩은 RSA, ECC 등 암호화 알고리즘을 하드웨어 수준에서 처리하며, 물리적으로 내장된 난수 생성기를 통해 안전한 키를 생성한다.
  • 시드 구문을 백업하여 안전한 복구를 지원한다.

5. 하드웨어 지갑의 트랜잭션 처리

  • 하드웨어 지갑은 오프라인 상태에서 작동하며, 소프트웨어 지갑과 연결하여 트랜잭션을 처리한다.
  • 소프트웨어 지갑을 인터넷에 연결하면 보안성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6. 보안성 강화를 위한 권고사항

  • 하드웨어 지갑을 사용할 때는 안전한 환경에서 시드를 백업하고 개인 키를 안전하게 보관해야 한다.
  • 온라인 상에서 개인 키를 입력하는 경우 보안 위험이 증가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암호화폐 지갑은 사용자의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핵심 요소이므로 보안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인터넷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오프라인 환경에서의 안전한 지갑 사용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