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문제를 발견하려 하지말고, 일상 자체를 문제로 보라” (조용민 대표)
AI와 일상: 조용민 대표의 전망
1. AI의 주니어 개발자에 미친 영향
- 최근 AI 기술의 발전으로 주니어 개발자의 필요성이 줄어들고 있음.
- 구글에서도 이미 AI가 개발의 25%를 담당하고 있음.
- 즉, 주니어 개발자의 역량보다는 일상을 문제로 보고 개선하는 역량이 필요해질 것으로 전망됨.
2. AI 기술과 사용자 중심의 UI/UX 중요성
- AI가 업무의 일부를 맡게 된다면, 사용자 중심의 UI/UX 디자인이 더욱 중요해질 것임.
- 사용자가 AI와 자연스럽게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함.
3. AI 에이전트와 센트럴라이제이션의 진화
- AI 에이전트의 등장으로 중앙집중형 AI 시스템이 발전하고 있음.
- 사용자들이 AI 에이전트와 소통하며 편리함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될 것임.
4. AI 에이전트와 유저 베네핏의 중요성
- AI 에이전트를 통해 사용자는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됨.
- 사용자가 AI를 통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임.
5. 아마존 고의 실패와 오프라인 스토어의 유저 니즈
- 아마존 고와 같은 실패 사례를 통해 오프라인 스토어에서의 사용자 요구사항 파악의 중요성을 인지함.
-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AI 기술과의 융합이 오프라인 스토어 경험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임.